2024/12/20

소장 도서의 분류 체계 만들기

n

"도서 분류의 기본 원리"

 도서 관리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바로 소장 도서의 분류 체계 만들기이다. 도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책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선 도서 분류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책이 어떻게 분류되느냐에 따라 원하는 책을 빠르게 찾을 수 있고, 도서를 잘 보존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소장 도서의 분류 체계를 어떻게 만들고 관리할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1. 도서 분류의 기본 원리

 도서를 분류할 때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분류의 일관성과 효율성이다. 도서의 분류 체계는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모든 분류 방식에서 중요한 점은 '일관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다. 일관된 기준이란, 각 책이 어떤 방식으로 구분되고 정리될 것인지를 명확히 정해두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도서 분류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장르에 따른 분류이며, 두 번째는 주제에 따른 분류이다. 이 외에도 알파벳, 숫자, 색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도서를 분류할 수 있다.

1.1 장르별 분류 방법

 장르별 분류 방법은 도서의 내용을 기준으로 책을 분류하는 방식이다. 소설, 역사, 과학, 철학 등 다양한 장르가 존재하는데, 각 장르에 맞춰 책을 배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설과 관련된 책들은 ‘소설’이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 넣고, 그 안에서 다시 세부적으로 문학 소설과 현대 소설로 나누거나, 작가별로 정리할 수 있다.

장르별 분류는 사용자가 특정 장르의 책을 찾고자 할 때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소설을 읽고 싶다면 '소설' 카테고리로 바로 이동할 수 있고, 그 안에서 다른 장르나 스타일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각 장르의 책들은 내용에 따라 상호 연관이 있기 때문에, 한 장르에 대한 관심이 있으면 다른 책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1.2 주제별 분류 방법

주제별 분류 방법은 도서의 주제나 다루고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자기계발’, ‘인문학’, ‘경제학’ 등의 주제로 도서를 분류하는 것이다. 주제별 분류는 사용자가 특정한 주제에 대한 깊은 이해나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유용하다. 예를 들어, '심리학'에 관한 책들을 찾고 싶다면, ‘심리학’이라는 주제 카테고리로 바로 접근할 수 있다.

주제별 분류는 특히 다양한 장르의 책이 존재할 때 유리하다. 예를 들어, 같은 심리학을 다루더라도 소설로 쓰인 심리학 서적과 이론서를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이렇게 주제별로 분류하면, 주제와 관련된 여러 책을 한눈에 보고 선택할 수 있어 편리하다.


2. 알파벳, 숫자, 색상으로 도서 분류하기

 도서 분류는 장르나 주제 외에도 알파벳, 숫자, 색상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방법은 물리적인 책장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직관적인 접근을 도울 수 있다.

2.1 알파벳으로 분류하기

알파벳으로 분류하기는 도서의 제목이나 저자명에 따라 책을 정리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특히 많은 수의 도서를 보유한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알파벳 순으로 책을 정리하면, 책을 찾는 데 필요한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부터 Z까지의 순서대로 책을 정리하면, A로 시작하는 책을 쉽게 찾을 수 있고, K로 시작하는 책을 금방 찾아볼 수 있다.

알파벳 분류는 대체로 작가별 분류와 잘 결합된다. 예를 들어, '마르크스'의 책을 찾고 싶다면, 'M'으로 시작하는 섹션으로 바로 이동하여 마르크스의 저서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이 방법은 특히 저자명을 기준으로 책을 분류할 때 효율적이다.

2.2 숫자로 분류하기

 숫자로 분류하기는 도서에 숫자나 코드번호를 부여하여 분류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주로 ISBN(국제 표준 도서번호)을 사용하여 도서를 정리하는 방식으로, 각 책에 고유한 숫자 코드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대규모 도서관이나 전문 서점에서 주로 사용되며, 매우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분류 방법이다.

 도서의 ISBN 번호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므로, 이 번호를 기준으로 책을 정리하면 매우 정확한 관리가 가능하다. ISBN 번호를 통해 도서를 찾을 때, 책의 제목이나 저자명을 정확히 모르더라도 해당 번호만으로 원하는 책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2.3 색상으로 분류하기

 색상으로 분류하기는 책의 표지 색상에 따라 책을 분류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주로 시각적으로 도서를 정리하려는 경우에 유용하다. 색상으로 분류하면, 원하는 책을 시각적인 인식을 통해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란색 표지가 있는 책은 모두 하나의 구역에, 빨간색 표지가 있는 책은 다른 구역에 정리하는 방식이다.

 색상 분류는 책의 내용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보다는 시각적인 배열에 초점을 맞추므로, 책의 주제나 장르에 상관없이 직관적으로 책을 찾는 데 유리하다. 다만, 이 방법은 책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에 유효하며, 책의 표지가 자주 변경되는 경우에는 불편할 수 있다.


3. 한국 십진 분류법(KDC)

 도서관에서 책을 정리하거나 개인 도서관을 운영할 때 분류 시스템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 십진 분류법(KDC)**은 이런 분류 작업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으로, 한국에서 도서관에서 책을 정리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 분류법을 잘 이해하면 도서관에서 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3.1 한국 십진 분류법(KDC) 개념

한국 십진 분류법은 도서를 주제별로 나누고, 각 주제에 대해 번호를 매기는 방식이다. 이 시스템은 10개의 주요 분야로 책을 분류하고, 각 분야 안에서 세부 주제로 나누어지며, 각 분야는 100번 단위로 번호가 매겨진다. 책이 많아져도 숫자를 추가해가며 분류할 수 있어서 확장성이 뛰어나다. 기본적으로 숫자 체계에 기반한 분류법이라 직관적이고 쉽게 책을 찾을 수 있다.

3.2 한국 십진 분류법(KDC)의 구조

한국 십진 분류법은 총 10개의 주요 분야로 나뉘며, 각 분야는 다시 세부 주제로 나눠진다. 여기서 각 분야는 100번 단위로 구분된다.

3.2.1 000 일반 작품 (General Works)

이 분야에는 도서관학, 정보학, 백과사전 같은 책들이 들어간다. 즉, 일반적인 참고서적이나 정보와 관련된 책들이 여기에 속한다.

• 020 도서관학: 도서관 관리와 운영에 관한 책

• 030 백과사전: 다양한 주제를 다룬 백과사전

3.2.2 100 철학 (Philosophy)

철학과 관련된 책들이 이 분야에 포함된다. 이 분야는 윤리학, 심리학, 논리학 등을 다룬다.

• 150 심리학: 인간의 마음과 행동에 관한 책

• 160 논리학: 논리적 사고와 이론을 다룬 책

• 170 윤리학: 도덕과 윤리에 관한 책

3.2.3 200 종교 (Religion)

종교와 관련된 책들이 이 범주에 포함된다. 기독교, 불교, 이슬람 등 다양한 종교에 대한 이론과 역사에 관한 책들이 있다.

• 220 기독교: 기독교의 교리와 역사

• 290 불교: 불교의 교리와 역사

3.2.4 300 사회과학 (Social Sciences)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등 사회와 인간의 문제를 다룬 책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 330 경제학: 경제 이론과 관련된 책

• 360 사회복지학: 사회복지와 관련된 책

• 370 교육학: 교육 이론과 관련된 책

3.2.5 400 언어 (Language)

이 분야에는 국어, 영어, 외국어와 관련된 책들이 들어간다.

• 420 영어학: 영어 문법, 영어 학습에 관한 책

• 497 한국어학: 한국어의 문법과 사용법에 관한 책

3.2.6 500 자연과학 (Natural Sciences)

물리학, 화학, 수학, 생물학 등 자연과학과 관련된 책들이 포함된다.

• 510 수학: 수학 이론과 응용에 관한 책

• 530 물리학: 물리학의 기초 이론과 실험에 관한 책

• 540 화학: 화학 이론과 실험에 관한 책

3.2.7 600 응용과학 (Applied Sciences)

응용과학과 관련된 책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의학, 공학, 농업 등의 책이 들어간다.

• 610 의학: 의학의 이론과 실제

• 620 공학: 다양한 공학 분야에 관한 책

3.2.8 700 예술 (Arts)

이 분야는 미술, 음악, 연극, 사진 등 예술과 관련된 책들이 포함된다.

• 750 미술: 미술의 이론과 역사에 관한 책

• 780 음악: 음악 이론과 작곡 관련 책

3.2.9 800 문학 (Literature)

문학과 관련된 책들이 이 분야에 포함된다. 소설, 시, 희곡 등이 여기에 속한다.

• 810 미국 문학: 미국 문학에 관한 책

• 820 영국 문학: 영국 문학에 관한 책

3.2.10 900 역사, 지리, 전기 (History, Geography, Biography)

역사, 지리학, 전기와 관련된 책들이 포함된다.

• 940 세계 역사: 세계 역사에 관한 책

• 911 한국 역사: 한국 역사에 관한 책


3.3 한국 십진 분류법의 장점

3.3.1 간단하고 직관적

 숫자를 기준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원하는 책을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학에 관한 책을 찾고 싶다면 530번대로 가면 된다. 즉, 주제별로 분류된 숫자가 직관적이라 책을 찾기 매우 쉬운 장점이 있다.

3.3.2 확장성

 책이 많아지거나 새로운 주제가 생길 때도 쉽게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제학 분야에서 새로운 세부 주제가 필요하면 330번대 아래에 숫자를 추가해서 새로운 주제를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이 시스템은 새로운 책이나 주제가 들어와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3.3.3 체계적이고 정확한 분류

 모든 책이 주제별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책을 찾을 때 매우 체계적이고 정확하다. 예를 들어, 사회학에 관한 책은 모두 300번대에 모여 있고, 수학에 관한 책은 510번대로 모여 있기 때문에, 책을 찾을 때 시간 낭비가 없다.



4. 소장 도서의 분류 체계 구축의 중요성

 소장 도서의 분류 체계는 책을 단순히 정리하는 작업을 넘어서, 효율적인 도서 관리와 도서관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체계적인 분류는 책을 찾는 데 드는 시간을 줄여주고, 원하는 책을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책을 관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점은 분류의 일관성과 유지 가능성이다. 분류가 일관되게 유지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날수록 책을 찾기가 어려워지고, 관리가 힘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서를 분류하는 원칙을 설정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정리 기준을 명확히 정하고, 그 기준을 꾸준히 지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분류 체계가 잘 구축되면, 도서를 찾는 시간이 단축되고, 원하는 책에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책을 보존하는 데 있어 체계적인 분류는 책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태를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ISBN 분류법에 대한 이해

 ISBN 분류법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은 책과 같은 출판물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 번호로, 도서의 출판 및 유통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ISBN은 출판물의 중복 없이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